대한민국 (r22 판)

편집 시각: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대한민국
大韓民國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국기
국장
표어
홍익인간(弘益人間)
기본 정보
수도
파일:서울특별시 시기.svg 서울특별시
최대도시
하위 행정구역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11도 3특별자치도[1]
면적
223,903㎢[2]
상징
국가
애국가
국화
무궁화
인문 환경
인구
77,279,263명(2025년)[3]
인구 밀도
345.1명/㎢(2025년)[4]
공용어
한국어
정치
대통령
이재명
국무총리
공석
경제
국내총생산
1조 8,230억 달러(2021년)[5]
1인당 국내총생산
23,501달러(2021년)[6]
기타 정보
국가 부호
410, KR, KOR
국제 전화 부호
+82
누리집
1. 개요2. 행정구역3. 정치
3.1. 대통령
3.1.1. 역대 임시대통령3.1.2. 역대 대통령
4. 대중매체에서의 대한민국
4.1. 만화4.2. 만화영화4.3. 전자오락

1. 개요[편집]

언어별 명칭
한국어
대한민국(大韓民國)
영길리어
Republic of Korea
일본어
大韓民国(だいかんみんこく)
언어별 약칭
한국어
한국(韓國)
영길리어
Korea
일본어
韓国(かんこく)
대한민국(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수도는 서울이다.

2. 행정구역[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펼치기·접기]
특별시
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시기.svg
광주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시기.svg
대구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시기.svg
대전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시기.svg
부산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시기.svg
울산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시기.svg
인천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시기.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경기도 도기.svg
경기도
파일:경상남도 도기.svg
경상남도
파일: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파일:전라남도 도기.svg
전라남도
파일:충청남도 도기.svg
충청남도
파일:충청북도 도기.svg
충청북도
파일:평안남도 도기.svg
평안남도
파일:평안북도 도기.svg
평안북도
파일:함경남도 도기.svg
함경남도
파일:함경북도 도기.svg
함경북도
파일:황해도 도기.svg
황해도
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도기.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3. 정치[편집]

3.1. 대통령[편집]

3.1.1. 역대 임시대통령[편집]

  • 제1대: 이승만
  • 제2대: 박은식

3.1.2. 역대 대통령[편집]

4. 대중매체에서의 대한민국[편집]

4.1. 만화[편집]

  • 검정 고무신: 주요 배경이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이다.
  • 아기 공룡 둘리: 주요 배경이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이다.

4.2. 만화영화[편집]

  • 꼬마 버스 타요: 주요 배경이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이다.
  • 띠띠뽀 띠띠뽀: 주요 배경이 대한민국이다.
  • 뽀로로의 한국대모험: 뽀로로와 크롱이 실수로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로 갔다. 이후 로디, 루피, 에디, 패티, 포비, 해리가 뽀로로와 크롱을 찾으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로 향했다.

4.3. 전자오락[편집]

  • 냥코 대전쟁: 미래편 각 장의 2번째 지역으로, 승리하면 인삼을 획득할 수 있다.
  • 배틀그라운드: 대한민국의 진도군의 가상의 지역인 태이고 지역이 등장한다.
이 문서는 이전 하늘위키의 대한민국 문서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여자 목록, 역사 보기

[1] 남한 지역에 1개 특별시, 6개 광역시, 1개 특별자치시, 6개 도, 3개 특별자치도가 위치해 있다.[2] 남한 지역의 면적은 100,460㎢이다.[3] 남한 지역의 인구는 51,169,148명(2025년)이다.[4] 남한 지역의 인구 밀도는 509.3명/㎢(2025년 5월)이다.[5] 남한 지역의 지역내총생산은 1조 9,276억 달러(2025년)이다.[6] 남한 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37,672달러(2025년)이다.[7] 4.19 혁명으로 하야했다.[8] 5.16 군사정변으로 하야했다.[9] 10.26 사건으로 임기중 사망했다.[10] 12.12 군사반란, 5.17 내란으로 하야했다.[11] 6월 항쟁으로 하야했다.[12] 퇴임 후 구속되었으며 현재는 사망했다.[ㄱ] 13.1 13.2 퇴임후 자연사했다.[15] 탄핵 재판이 진행된 적이 있으나 기각되었고, 퇴임후 자살했다.[16] 퇴임 후 구속되었다.[17] 탄핵 후 구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