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중학교

마지막 편집:
파일:대치중학교 로고.jpg
대치중학교
大峙中學校
Daechi Middle School
개교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공립
교장
이태행
교감
이미영
학생 수
588명[기준]
교직원 수
교훈
슬기롭게 아름답게 씩씩하게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관할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378길 39
홈페이지
파일:대치중학교_전경.webp
학교 전경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교표3.2. 교가3.3. 교목3.4. 교화
4. 학교 시설5. 학교 특징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운동부8. 출신 인물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9.2. 지하철
10. 여담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

2. 학교 연혁[편집]

1986.1. 29
대치중학교 설립 인가
1986. 3. 1
제 1대 구석회 교장선생님 취임
1986. 3. 4
제 1회 입학식(남 7학급, 여 7학급)
1987. 3. 1
제 2대 김병철 교장선생님 취임
1989. 2. 14
제 1회 졸업식
1991. 3. 1
제 3대 최준식 교장 선생님 취임
1994. 9. 1
제 4대 우효중 교장 선생님 취임
1998. 9. 1
제 5대 윤석중 교장 선생님 취임
2000. 9. 1
제 6대 정정웅 교장 선생님 취임
2003. 3. 1
제 7대 홍순철 교장 선생님 취임
2004. 3. 1
제 8대 김영애 교장 선생님 취임
2008. 3. 1
제 9대 김수득 교장 선생님 취임
2012. 3. 1
제10대 이원재 교장 선생님 취임
2015. 3. 1
제11대 김명옥 교장 선생님 취임
2016. 12. 26
2016학년도 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8. 9. 1
제12대 심재향 교장 선생님 취임
2018. 12. 28
2018학년도 청렴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9. 1. 31
제31회 졸업식(남 127명, 여 63명, 계 190명)
2019. 3. 4
제34회 입학식(남 102명, 여 44명, 계 146명)
2019. 4. 5
2019학년도 수능 및 대입유공학교 표창
2020. 2. 6
제 32회 졸업식(남 117명, 여 52명, 계 169명)
2020. 4. 16
제 35회 입학식(남 110명, 여 46명, 계 156명)
2021. 2. 8
제 33회 졸업식(남 112명, 여59명, 계 171명)
2022. 3. 2
제 36회 입학식(남 107명, 여 62명, 계 162명)
2022. 8. 31
제 12대 심재향 교장 선생님 정년 퇴임
2022. 9. 1
제 13대 이태행 교장 선생님 취임
2024. 2. 6
제 36회 졸업식(남 명, 여 명, 계 명)
1985년 교내 뒤편에 있는 아파트 건설 당시 함께 지어진 학교이다.

3. 교훈 및 상징[편집]

슬기롭게, 아름답게, 씩씩하게

3.1. 교표[편집]

파일:대치중학교 로고.jpg

원만 성실

산모양
포부 희망

흰색
순결 정직

청색
창의 슬기

녹색
안전 평화

3.2. 교가[편집]

구석회 작사 / 신귀복 작곡[3]
1절
구룡산 앞에솟아 뒤는 한가람
오누이 함께모인 배움의 전당
미래를 창조하는 겨레의 일꾼
이 땅의 기둥으로 푸르게 크자
힘차게 솟아오를 대치중학교
빛나라 영원토록 대치중학교
2절
한마음 한뜻으로 굳게 뭉쳐서
마음은 아름답게 몸은 튼튼히
희망찬 꿈을안고 나아가는 길
우리의 앞날에는 영광만 있다
힘차게 솟아오를 대치중학교
빛나라 영원토록 대치중학교

3.3. 교목[편집]

  • 은행나무
오래 사는 나무 - 끈기·번영
병에 강한 나무 - 강한 인내
가지가 넓고 아름다운 나무 - 포용·조화
열매가 식용·약용이 되는 나무 - 건강·봉사

3.4. 교화[편집]

  • 개나리
이른 봄에 피는 꽃 - 근면
노란 잎 - 명랑
서로 어울려 울타리로 사용되는 꽃 - 협동
생존력이 강한 꽃 - 자조

4. 학교 시설[편집]

  • 본 교사
ㄷ자의 형태로 각 반 교실, 교무실, 과학실 등이 있는 건물이다.
  • 나래울
본 교사에 포함되어 있는 학교 도서관이다. 이름의 뜻은 나래(날개)+울(울타리)이다.[4]
  • 오름터
학교 강당이다.[5] 신입생들의 입학식도 이곳에서 이루어지곤 한다.
  • 정원

5. 학교 특징[편집]

  • 2019년 1월 즈음에 급식실 공사를 완료했다. 과거 강당 밑 풋살장이었던 곳을 급식실로 만들었다.[6]
  • 불과 1~2년 전에 화장실 리모델링을 완료했다. 각 화장실 내부에 탈의실이 있다.
  • 2018년 8월 부로 도서관 리모델링 작업을 완료했다. 기존 멀티미디어실이었던 곳을 도서관으로 개조했다.
  • 2017년 입학생 기수(32기)부터 학교 체육복 디자인이 바뀌었다.[7] 물론 그 전 기수 학생들도 바뀐 디자인의 체육복을 구입할 수 있었다.
  • 2018년 여학생 하복의 불편함을 토로한 국민청원이 청와대 누리집에 올라왔고[8], 이 즈음 대치중에서도 여학생들이 하복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자 학생회를 중심으로 여학생 하복의 교체와 관련 교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남학생들까지도 가세하여 학생 서명운동이 이루어지고 교복 관련 부서 교사들과의 간담회까지 진행되는 등 상당히 적극적인 요구가 지속되었으나 교사들의 반대와 교복 업체와의 협의 실패로 결국 무산되었다. 2022년 현재는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인지 교복과 관련한 규제가 많이 완화된 상태이다.[9]
  • 매점이 없다.
  • 불과 몇 년 사이에 교실에 있는 책상과 의자가 모두 바뀌었고, 사물함도 모두 바뀌었다. 사물함은 원래 있던 작은 사물함보다 부피가 커서 옷, 교과서, 실내화가방 등을 수납하기 편하다.
  • 아파트 단지가 바로 뒤에 있는지라 개포우성4차 거주자 학생 비율이 높다.
  • 이름은 대치중학교지만 학교가 도곡동에 위치해 있다.
  • 2022년에는 수많은 구기 대회를 진행했다.

6. 학교 생활[편집]

6.1. 주요 행사[편집]

  • 어울림한마당(종합발표회)
연말에 하는 행사이다. 사전에 심사를 통해 무대를 보여줄 팀들을 선발해서 공연을 한다.

2019년 종합발표회 오프닝 영상이다.[10]
  • 대치한마당
체육대회이다. 과거에는 반별로 컨셉에 맞게 반을 꾸미기도 했다고 하나, 현재는 체육대회만 진행되고 있다

2019년 대치한마당 영상이다.[11]

7. 운동부[편집]

야구부가 있다. 뛰어난 야구선수를 많이 배출했으며, 대치중학교 하면 야구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아래 문단에도 쓰여 있지만 대치중학교 출신 유명인이 거의 다 야구선수다.

8. 출신 인물[편집]

  • 고종욱
  • 김대우
  • 김태형
  • 김성표
  • 김현우
  • 김휘집
  • 권도형
  • 남경호
  • 남도현
  • 배윤정
  • 성준(배우)
  • 서지민
  • 전소연
  • 안치홍
  • 오태양(야구선수)
  • 유민(야구선수)
  • 이민호(2001)
  • 이재욱
  • 장민호(2002)
  • 전인환
  • 전현태
  • 채은정
  • 최건(야구선수)|최건
  • 최승민(1996)|최승민
  • 최준우]]
  • 팔로알토[12]
  • 서동욱(2004)|서동욱
  • 이상준(2005)
  • 김무빈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9.1. 버스[편집]

매봉역(23323•23695)
안양시 시내버스
일반

매봉역양재최의원(23317)
안양시 시내버스
일반

도곡2동주민센터대치중학교 (23720•23698•23578)

매봉역입구(23749)

9.2. 지하철[편집]

  • 서울 지하철 3호선: 매봉역

10. 여담[편집]

  • 양재천변에 위치한 학교인지라 4월이 되면 등하굣길에 벚꽃이 만개해 매우 아름답다.
  • 전자 칠판을 사용한다.
  • 방송 장비가 매우 열악하다. 방송이 제대로 나오는 날이 잘 없을 정도.
  • 인근 학교에 비해 시험 난이도가 평이한 편이다. 물론 과목에 따라, 선생님에 따라 다를순 있으나 전반적으로 내신 관리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래서인지 특목고 진학률이 상당히 높은 편.
[기준] 1.1 1.2 2023학년도[3] 얼굴의 작곡가이자 수많은 학교의 교가를 작곡하신 분이신 이 분과 같은 분인것 같다.[4] 이는 도서관 리모델링을 할 때 학생들에게 도서관 이름을 추천하고 싶은 사람은 종이에 적어서 추천하게 하는 이벤트를 해서 지은 이름이다.[5] 이는 나래울과 같이 지어질 때 학생이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나래울보다는 나이가 많다.[6] 공사 후 전교생이 급식실에서 줄을 서고 있는 혼돈이...[7] 2018년 당시 학생회장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합하여 학교에 건의를 했고 절차를 통해 이듬해부터 적용하였다.[8]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282691[9] 교복에 대한 규제가 갈수록 느슨해져 3학년들은 교복을 제대로 입는 경우가 없다시피 하다.[10] 매년 나오는 게 아니라, 한 재학생의 신급 편집실력으로 나온 것이다.[11] 이것도 마찬가지로 이때만 있는 영상이다.[12] 2023년에 무려 학교 축제인 어울림 한마당에 참가해 무대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