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위키:기본규정 (비교)

r23 vs r24
... ...
47 47
* 특정 반달의 차단회피 또는 관련 반달의 측근으로 의심되는 경우, 관리자는 오리 실험을 통한 즉결처분이 가능하다.
48 48
* 즉결처분 이후 반드시 다중 계정 검사를 요청해야 한다.
49 49
* 특정 반달의 차단회피가 아님이 밝혀졌을 때는 해당 이용자를 즉결처분한 관리자가 모든 책임을 진다.
50
[각주]
51 51
== 임시조치 ==
52 52
* 소유자는 임시조치 요청이 들어오면 신속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53 53
* 임시조치에 대한 이의제기가 발의되었을 경우, 그 즉시 임시조치는 해제한다
54 54
* 이 이후에 생기는 일은 이의제기자의 책임으로 간주한다.
55 55
* 해당 문서의 권리자[*예1 위키 소유자, 문서의 전반을 기여한 이용자, 해당 문서에 서술된 당사자 등]는 임시조치를 신청할 수 있다.
56
[각주]
57 57
== 규정의 개정 ==
58 58
* 하늘위키의 모든 이용자는 이용자로서 규정을 개정할 수 있다.
59 59
* 모든 규정 개정은 다음의 절차를 지켜 진행해야 한다.
60 60
* 소유자는 아래의 경우에 규정을 직권으로 신설, 개정할 수 있다.
61 61
* 긴급한 경우
62 62
* 그 외의 소유자의 재량
63
* 소유자가 직권 개정한 규정은 요청이 제기되었을 때, 소유자가 필요성을 입증해야 한다.
63
* 소유자가 직권 개정한 규정은 관련 문의가 제기되었을 때, 소유자가 필요성을 입증해야 한다.
64 64
* 이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 해당 직권 개정은 무효화될 수 있다.
65
* 소유자가 직권 개정한 규정은 기본적으로 1주일간만 유지된다.
66
* 이후 최대 1개월[* 30일] 까지 연장할 수 있다.
67
* 이 기간이 지난 경우 존치 여부에 대한 규정 개정 토론을 진행하여야 한다.
68
[각주]
69 69
=== 규정 개정 토론 ===
70 70
* 긴급 개정을 제외한 모든 규정 개정은 토론을 통해 개정해야 한다.
71 71
* 규정 개정에 대한 근거 입증은 규정 신설 측에서 입증해야 한다.
72 72
* 규정 개정 토론의 끌어올림은 6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73
* 개정안에 대해 발제자를 제외한 2 이상의 동의가 있을 경우,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한다.
74
* 만약 끌어올림을 3회 이상 하였음에도 이의 없이 2 이상의 동의가 없을 경우, 단독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한다.
73
* 개정안에 대해 발제자를 제외한 1인의 동의가 있을 경우,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한다.
74
* 만약 끌어올림을 3회 이상 하였음에도 이의 없이 1인의 동의가 없을 경우, 단독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한다.
75 75
* 이의제기 기간은 개시 시점으로부터 끌어올림이 3회 이루어지고 6시간이 지난 시점까지 유효하다.
76 76
* 이 기간이 지난 이후의 이의는 유효하지 않는다.
77 77
* 이의제기 기간이 종료된 개정안은 승인을 대기해야 한다.
... ...
79 79
* 이의제기 기간이 종료된 개정안은 편집 요청을 발제하여 소유자의 승인을 대기해야 한다.
80 80
* 소유자가 해당 토론에 동의 의사를 표했거나 직접 발제했을 경우 승인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81 81
* 아래의 경우에는 이의제기기간 없이 규정을 즉시 개정할 수 있다.
82
* 관리자 중 3인 이상이 동의한 경우
82
* 관리자 중 4인 이상이 동의한 경우
83 83
* 소유자가 동의한 경우
84 84
* 소유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개정안을 거부할 수 있다.
85 85
* 명백히 하늘위키의 기본 정신을 위배하는 규정
86 86
* 하늘위키의 운영에 큰 혼란이 생길 규정
87 87
* 개정되었을 때 실익이 없는 규정
88 88
* 그 외의 소유자의 재량
89
* 소유자의 재량에 따라 각하된 규 경우,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89
* 안이 거부되었을 경우,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90 90
* 이는 관리자 중 4인 이상이 동의할 경우 소유자의 승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91 91
== 다중 계정 검사 ==
92 92
* 하늘위키는 다중 계정 검사로 이용자를 차단할 경우, 반드시 억울한 일이 없게 하여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