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비교)
r2 vs r3 | ||
---|---|---|
... | ... | |
76 | 76 | |
77 | 77 | 이는 외국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많은 지역에서 시내버스에 거스름돈을 아예 보유하지 않거나, 보유하더라도 고액권에 대해서는 거스름돈을 지급하지 않는다. 그나마 일본 정도가 1,000엔(10,000~11,000원 상당) 지폐까지 이용이 가능하고, 그 이전에 대부분의 일본 시내버스에는 차내에 동전 교환기가 있어서 1,000엔짜리 지폐를 동전으로 바꿔서 낼 수 있다. 유럽의 경우 요금을 초과하여 요금함에 넣으면 그냥 먹는 경우가 대부분. 지역에 따라 사후에 환급이 가능한 곳도 있지만, 아예 거스름돈 미지급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어 버스회사가 합법적으로 잔돈을 꿀꺽할 수 있는 나라도 있다. 한국이든 외국이든 버스 이용 시는 잔돈을 준비하거나 교통카드를 사용하도록 하자. |
78 | 78 | |
79 | 국가유공상이자(1~7급)는 시내버스 무임승차가 가능한데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우대용 교통카드가 발급되는 지역에서는 국가유공자 교통카드를 카드단말기에 접촉시키거나 (국가유공자 교통카드가 없거나 국가유공자 교통카드가 발급되지 않는 지역이라면) 수송시설이용 국가유공자증서[* 공상공무원은 수송시설이용 국가유공자증서, 공상군경은 상이군경회원증]를 기사에게 제시하면 된다. 좌석버스 면허 시내버스나 급행버스에서는 |
|
80 | ||
79 | 국가유공상이자(1~7급)는 시내버스 무임승차가 가능한데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우대용 교통카드가 발급되는 지역에서는 국가유공자 교통카드를 카드단말기에 접촉시키거나 (국가유공자 교통카드가 없거나 국가유공자 교통카드가 발급되지 않는 지역이라면) 수송시설이용 국가유공자증서[* 공상공무원은 수송시설이용 국가유공자증서, 공상군경은 상이군경회원증]를 기사에게 제시하면 된다. 다만, 좌석버스 면허 시내버스[*예시 [[서울 버스 9401]], [[서울 버스 9409|9409]]]나 급행버스에서는 불가능하다.[* 좌석버스, 급행버스라도 일반시내버스와 동일한 요금을 받는 경우는 제외다.] |
|
81 | 80 | |
82 | 서울의 경우 2023년 8월 |
|
81 | 서울특별시의 경우 2023년 8월부터는 장애인도 시내버스를 무료로 탈 수 있게 되는데[* 무임권 교통카드를 충전 후 사용 시 사용 금액만큼 환급해 주는 형식이다.], 시에서 장애인 시내버스 요금을 지원해 주기 때문이다. 또한 아무 서울특별시 면허 소속의 버스를 한 번이라도 타면 탑승한 타 경기도, 인천광역시 소속 면허의 버스 요금까지 모두 지원하며, 환급은 익월 25일 혹은 25일이 공휴일인 경우 바로 전의 평일에 이뤄진다. |
|
83 | 82 | |
84 | 83 | == 관련 문서 == |
85 | 84 | * [[농어촌버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