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버스 (비교)

r4 vs r5
1 1
[[분류:강릉시 시내버스]][[분류:양양군 농어촌버스]][[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80년 설립]]
2 2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회사)]
3
||<-2><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f14f30><:><bgcolor=#f14f30> '''{{{#FFFFFF {{{+2 동진버스 주식회사}}}[br]東進버스 株式會社[br]Dong-jin Bus}}}''' ||
3
||<-2><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f14f30><:><bgcolor=#f14f30> '''{{{#FFF {{{+2 동진버스 주식회사}}}[br]東進버스 株式會社[br]Dong-jin Bus}}}''' ||
4 4
||<colbgcolor=#f14f30><colcolor=#FFF> 설립일 ||1980년 5월 8일 ||
5 5
||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
6 6
|| 대표자 ||최준형 ||
... ...
35 35
* [[양양군 마을버스]] 322번, 325번, 326번.
36 36
37 37
== 여담 ==
38
* [[강릉시]]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디젤차량만 출고해왔었다. 이 때문에 [[저상버스]]도 자연스레 디젤 차량으로 출고했다.[* 이로 인해 천연가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면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하는데, 이는 국내에 디젤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는 더 이상 디젤저상 모델을 생산하지 않는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사각램프 BS110CN 디젤 저상 2대가 모두 그린어스로 대차되었으며 이후 전기버스가 계속 늘어 48대[* 포톤 그린어스 18대 + 킹롱 시티라이트 30대.]를 보유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한국산 전기버스를 첫 도입한 지역은 춘천시이다. 이쪽은 NEW e-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의 경우 처음 도입하려 했을 땐 차량 대급 미납으로 [[현대자동차]]에서 회수해갔으며, 이후 제대로 출고하였다.] 이 때문에 차고지 내에 전기차량 전용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기버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 2 차고지 및 전기버스 충전소를 공단 근처에 조성했다.
39
38
* [[강릉시]]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디젤차량만 출고해왔었다. 이 때문에 [[저상버스]]도 자연스레 디젤 차량으로 출고했다.[* 이로 인해 천연가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면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하는데, 이는 국내에 디젤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는 더 이상 디젤저상 모델을 생산하지 않는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사각램프 BS110CN 디젤 저상 2대가 모두 그린어스로 대차되었으며 이후 전기버스가 계속 늘어 48대[* 포톤 그린어스 18대 + 킹롱 시티라이트 30대.]를 보유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한국산 전기버스를 첫 도입한 지역은 춘천시이다. 이쪽은 NEW e-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의 경우 처음 도입하려 했을 땐 차량 대급 미납으로 [[현대자동차]]에서 회수해갔으며, 이후 제대로 출고하였다.] 이 때문에 차고지 내에 전기차량 전용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기버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2 차고지 및 전기버스 충전소를 공단 근처에 조성했다.
40 39
* 2012년 10월 말 [[http://www.kwnews.co.kr/nview.asp?s=&aid=212103100060&t=.html|비수익 노선을 폐지하겠다고 들고 나왔다.]][* 신문에는 D버스로 표기되어 있으나 강릉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동해상사고속은 수익성이 나쁘지 않은 시내노선과 주문진 노선만 운행하기에 동진버스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http://www.kwnews.co.kr/nview.asp?s=501&aid=212110200123&t=.html|2012년 11월 3일부터 모든 노선이 정상화되었다.]]
41
42 41
* 유사한 노선끼리는 크게 한개의 계통(OO선, XX선)으로 취급하여 차량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서 220, 222, 223번은 관대선으로 묶어서 11대를 투입하는 식. 다만 104, 224, 224-1, 233, 234, 통학노선처럼 운행횟수가 상당히 적은 경우 다른 계통의 차량을 빼서 투입한다.[* 2018년 개편전에 다니던 214번은 보광리에서 출발한 502번 첫차가 가마골을 찍고 나오면서 503번 첫차의 기능까지 하던 것이 영동대 앞에서 노선번호만 바꿔서 다니던 노선이었고, 2019년 개편전에 다니던 304/305번 역시 시내노선에서 다니던 차가 지원을 나갔다. 2020년에는 509번을 시내선에서 지원운행했다. 수요가 없는데 큰 차가 들어간 것은 이런 이유.][* 104, 224-1, 234번은 관대선 차량이 아침시간대에 지원운행을 나가는 노선들이다.]
43
44 43
* 에너지 절약을 이유로 여름에 에어컨을 틀지 않고 창문을 열고 다녀서 [[https://www.youtube.com/watch?v=QJ08PsTQZyY|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
45
46 45
* 디젤 저상버스가 일반 디젤버스에 비해서 연비가 나쁜데다가 유지비가 많이 나왔던지라 평일에 한해 거리가 짧은 대학선에 집중적으로 투입했었고[* 디젤 저상버스는 관대선에 가장 많이 들어갔고 강대선에도 제법 많이 들어갔다. 아주 드물게 강릉고, 강문 노선에도 들어갔으며 운행거리가 긴 남부선, 북부선, 서부선에는 절대로 투입하지 않았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아예 운행하지 않았다. 이후 ~~차량 품질과는 별개로~~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전기 저상버스가 들어오면서 운행 빈도가 줄어들다가 단거리 노선인 233, 234번으로 넘어갔고 2020년부터 코로나 19로 인한 감차 이후에는 연식 및 주행거리를 불문하고 전부 운행을 중단했다. 더군다나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가 같은 저상버스이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 애물단지인 이 차들이 명목상 예비차로 바뀌어 운행을 나오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는 상황.
47
48 47
* 한때는 동진관광을 운영한 적이 있었지만 2000년대 초반에 폐업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동진버스 차고지에 '''동진버스 동진관광'''이라고 쓰여있었으나 '''동진버스 동진버스'''로 바뀌었다.
49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