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 (r1 Blame)

r1
r1
2a09:bac1:3f40:90::299:2b
(새 문서)
1 [[분류:티머니]]
2 [include(틀:다른 뜻, other1=이 교통카드 체계를 운영하는 기업, rd1=티머니(기업))]
3 [include(틀:대한민국의 교통카드)]
4 ||<-2><tablewidth=400><tablebordercolor=#76347b><tablealign=right><colcolor=#fff><bgcolor=#76347b><:> '''{{{+2 티머니}}}'''[br]Tmoney ||
5 ||<-2><bgcolor=#fff,#2d2f34><height=65> [[파일:티머니 영문 로고타입.svg|width=55%]] ||
6 ||<colbgcolor=#76347b><width=28%> '''사업자''' ||<colbgcolor=#fff,#2d2f34>[[티머니(기업)|(주)티머니]][br]{{{-1 (구 (주)한국스마트카드)}}} ||
7 || '''서비스 개시''' ||[[2004년]] [[7월]] ||
8 || '''규격''' ||[[국토교통부]] [[전국호환교통카드]] 규격[* [[ISO/IEC 14443]] 기반 [[전국호환교통카드|KS X 6924+Config DF]] 규격.][br][[MIFARE]] DESFire(구형)[*단종 전국호환규격 채용 이후 단종되었으나 사용은 가능하다.][br] ||
9 || '''사용 지역''' ||[[대한민국]] 전역[br]([[영양군]] 제외) ||
10 || '''지불 방식''' ||[[선불교통카드|선불식]](최대 50만원)[br][[후불교통카드|후불식]][br][[정기권]]([[기후동행카드]]) ||
11 || '''권종''' ||[[통합권종]][br]우대권 ||
12 || '''고객센터''' ||080-389-0088 ||
13 ||<-2> '''[[https://www.tmoney.co.kr/|{{{#fff 티머니 공식 홈페이지}}}]][br][[https://blog.naver.com/dailytravel12|{{{#fff 티머니 공식 블로그}}}]][br][[https://www.t-zone.co.kr/|{{{#fff 티머니 인터넷 쇼핑몰}}}]][br][[https://www.instagram.com/tmoney_insta/|{{{#fff 티머니 인스타그램}}}]][br][[https://www.youtube.com/channel/UCNUz9CIAlWDtaLWvFWzgsww|{{{#fff 티머니 유튜브 채널}}}]]''' ||
14 [목차]
15 [clearfix]
16 == 개요 ==
17 [[대한민국]]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종류의 교통카드이다. 2004년 7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영양군|영양]]/[[진도군]]을 제외한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18
19 == 모바일티머니 ==
20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말 그대로 휴대전화로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구동 방식은 [[USIM]] 칩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의 SIM SE 방식이다. 2024년 10월 기준 [[Android]] 6[* 구체적인 버전은 6.0.0] 이상의 OS가 탑재된 스마트폰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iPhone]]에서는 기술/정책적인 사유로 [[Apple Pay]]를 제외한 앱에서는 NFC 사용이 불가능해 사용할 수 없다.[* 다만, USIM을 끼우지 않은 상태로 이욯 시, HCE 방식을 통한 이용도 가능하며, 이 방식도 역시 [[Android]]가 탑재된 스마트폰에서만 가능하다.]
21
22 충전 방식은 일반적으로 현금으로만 충전 가능한 일반 플라스틱형 카드와는 달리 매우 다양하다. T마일리지를 통한 충전, 실시간 계좌이체 충전, 신용/체크카드를 통한 충전, 휴대폰 소액결제, 상품권을 통한 충전 등이 있다. 이 중 휴대폰 소액결제를 통한 충전 방식은 긴급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왜냐하면 충전 수수료가 충전액의 '''{{{#red 6%}}}'''나 달하는데다, 충전 금액의 2.1%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수수료 비율은 공항 내의 은행 창구에서 [[대한민국]] 원을 [[일본]] 엔으로 환전할 때 드는 수수료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제정신이 아닌 이상 그런 짓을 할 이유는 없으니...]
23
24 여담으로 [[티머니GO]]를 통해서 받은 환승 마일리지를 이 앱을 통해서 현금으로 환급받을 수도 있는데, 이 때 해당 어플을 통해서 환급이 가능하다.
25
26 == 환불 팁 ==
27 교통카드 잔액이 1250원 이하인 경우, [[서울교통공사]] 혹은 [[인천교통공사]] 운영 역사에서 카드 잔액을 전액 환불해 준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티머니(기업)|티머니 본사]]의 최대 주주가 [[서울특별시]]이기 때문이며, 당장 타사 교통카드인 [[레일플러스]]의 경우에는 계열사인 [[코레일]]이 운영하는 역사에서 처리해 준다.] 혹시라도 잔돈이 필요한 경우처럼 급하게 잔액을 환불할 일이 있으면 꼭 활용해 보자. --대부분의 역무원들은 웬만해서는 다 처리해 준다-- 단 1251원[* 사실상 1260원 이상]부터는 500원의 수수료를 제하며, 10만원 이상의 환불은 월 1회, 연 5회로 제한되고 모바일티머니 잔액 환불은 [[2012년]] [[7월 1일]]부터의 정책 변경으로 인해 더 이상 지하철 역사나 편의점들 혹은 시중 은행 자동화기기에서 환불할 수 없고 앱에서만 환불 신청이 가능하다.
28
29 또한 환불 시, 모바일티머니에서 카드 명의자 본인의 계좌를 등록한 뒤 계좌로 환불 시 종전에는 2~3 영업일 뒤에 잔액이 환불 처리됐으나 이제는 오픈뱅킹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은행 점검 시간을 제외하면 24시간 365일 환불이 가능해졌다.
30
31 [각주]
32 [include(틀:문서 가져옴/알파위키, title=티머니, version=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