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r1 Blame)
r1 | ||
---|---|---|
r1 Vanilla (새 문서) |
1 | [[분류:강원특별자치도]] |
2 | [include(틀:다른 뜻, other1=변경 이전의 강원특별자치도, rd1=강원특별자치도/전신)] | |
3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 |
4 | ||<-4><tablealign=right><tablewidth=430><tablebordercolor=#D50037><tablebgcolor=#fff,#1f2023><color=#000,#ddd>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대한민국|{{{#000,#ddd 대한민국}}}]]의 [[특별자치도|{{{#000,#ddd 특별자치도}}}]]'''[br]{{{#!wiki style="margin: -5px 0; display: inline-table" | |
5 |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0" | |
6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 |
7 | '''{{{+1 강원특별자치도}}}'''[br]江原特別自治道[br]{{{-1 Gangwon State}}}}}} ||}}} || | |
8 | ||<-4><nopad>[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너비=100%, 높이=100%)]|| | |
9 | ||<|3><width=65><colbgcolor=#D5003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 |
10 | [[강원특별자치도청|{{{#fff '''도청 소재지'''}}}]]}}} ||<colbgcolor=#D50037><colcolor=#fff><width=65> '''본청''' ||<-2> [[춘천시]] 중앙로 1 (봉의동) || | |
11 | ||<|2> '''제2[br]청사'''[* 2023년 7월 24일 '글로벌본부'라는 이름으로 개청했다.] ||<-2> [[강릉시]] 주문진읍 연주로 270 (교항리)[br]{{{-2 (글로벌관)}}} || | |
12 | ||<-2>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로 14 (교항리)[br]{{{-2 (환동해관)}}} || | |
13 | ||<-2> '''최대도시''' ||<-2> [[원주시]] || | |
14 | ||<-2> '''하위 행정구역''' ||<-2> 7시 11군[* 미수복지구인 김화군, 이천군, 통천군, 평강군, 회양군을 포함할 경우 7시 16군.] || | |
15 | ||<-2> '''면적''' ||<-2> 16,829.7㎢[* 2020년 12월 기준 국토교통부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2728|국토 면적 현황]]. 강원특별자치도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북한 정부의 강원도를 자신의 영역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원산시가 제외되는 미수복 영토 포함 시 20,569㎢라고 하나, 실제로 그 면적은 원산 일대를 제외해도 25,228.7㎢로 보인다. 이천, 평강, 회양만 해도 4,000㎢가 넘어가기 때문이다.] || | |
16 | ||<-2> '''인구''' ||<-2> 1,527,807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휴전선 이남 기준. 북한 정부 기준 강원도가 아니라, 강원특별자치도 특별법 부칙 제8조를 통해 개정된 이북5도 특별조치법에 따른 휴전선 이북의 강원특별자치도는 80만명 가량의 인구가 2008년에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 | |
17 | ||<-2> '''인구 밀도''' ||<-2> 91.0명/㎢[* 휴전선 이남 기준.] || | |
18 | ||<-2> '''GDP''' ||<-2> $449억{{{-2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1&conn_path=I2/|#]]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적용 환율]].] || | |
19 | ||<-2> '''1인당 GDP''' ||<-2> $29,674{{{-2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6&conn_path=I2|#]]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적용 환율]].] || | |
20 | ||<-2> [[강원특별자치도지사|{{{#ffffff '''도지사'''}}}]] ||<width=100>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진태]] {{{-2 (초선)}}} || | |
21 | ||<|2> [[강원특별자치도 부지사|{{{#fff '''부지사'''}}}]] || '''행정''' ||<|2><width=100>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김명선(공무원)|김명선]] {{{-2 (15대)}}} || | |
22 | || '''경제''' || [[정광열]] {{{-2 (8대)}}} || | |
23 | ||<-2> [[강원특별자치도의회|{{{#ffffff '''도의회'''}}}]]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
2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25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26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42석[* 지역구 39석, 비례대표 3석.] || | |
27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6석[* 지역구 4석, 비례대표 2석.] || | |
28 | || [include(틀:공석/행정구역)] ||1석[* 양구군 선거구 이기찬 의원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직 상실] ||}}}}}}}}} || | |
29 | ||<-2>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ffffff '''교육감'''}}}]] || [include(틀:보수교육감)] || [[신경호(1952)|신경호]] {{{-2 (초선)}}} || | |
30 | ||<-2> [[틀:제21대 국회의원/강원특별자치도|{{{#ffffff '''국회의원'''}}}]]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
3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2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33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6석 || | |
34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2석 ||}}}}}}}}} || | |
35 | ||<-2> [[틀:강원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8기)|{{{#ffffff '''시장·군수'''}}}]]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
3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7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38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4석 || | |
39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 || | |
40 | ||<|4> '''상징''' || '''도화''' ||<-2> 철쭉[* 꽃말이 '사랑의 즐거움'인 철쭉은 해마다 5월이면 강원도의 산지를 연분홍색으로 물들여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해 준다.] || | |
41 | || '''도목''' ||<-2> 잣나무[* 도내에 자생하는 나무 중 으뜸이며, 한랭한 지방에서 잘 자라는 수익성 높은 늘 푸른 나무로, 유실수와 용재로 많이 조림되고 있다.] || | |
42 | || '''도조''' ||<-2> 두루미[* 십장생의 하나로 품위의 상징이며, 철원군 지역에 주로 서식, 남북 강원도를 자유로이 왕래하는 평화의 상징이다. 신성·고고함이 도의 청정 이미지와 도민의 깨끗한 심성과 일치한다.] || | |
43 | || '''도수''' ||<-2> 반달가슴곰[* 광택 있는 검은털과 앞가슴에 반달형 흰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설악산·오대산 등에서 서식하고 있다.] || | |
44 | ||<-2> {{{#ffffff '''지역번호'''}}} ||<-2> '''033''' || | |
45 | ||<-2> {{{#ffffff '''ISO 3166-2'''}}} ||<-2> '''KR-42''' || | |
46 | ||<-2> '''링크''' ||<-2> [[https://state.gwd.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gwdoraeyo|[[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channel/UC499dzcb2Fx9RD39Vqpz-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facebook.com/gwdoraeyo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gangwon_stat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ter.com/happygangwo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 || | |
47 | ||<-2> '''공식 캐릭터''' ||<-2><bgcolor=#fff><color=#373a3c> [[파일:강원이와 특별이.svg|width=140]][br]마스코트 '강원이와 특별이' || | |
48 | [목차] | |
49 | [clearfix] | |
50 | == 개요 == | |
51 | >'''새로운 강원도! 특별자치시대!''' | |
52 | >---- | |
53 | >민선 8기 김진태 도정구호 | |
54 | [[대한민국]]의 특별자치도이다. [[강원도]]가 폐지되며 새로 신설되었다. | |
55 | == 하위 행정구역 == | |
56 |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 |
57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알파위키, title=강원특별자치도, version=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