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60.55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시내버스
(r4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1632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P 위치: DE, [AS16509] - [Amazon.com, Inc.] 우회 수단 IP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상세 == 사람들이 주로 흔히 부르는 시내버스(협의의 시내버스)가 일반버스(입석버스)이며, 유사 항목으로 [[농어촌버스]]가 존재하는데 사실 서비스 지역이 군 지역이라는 것과 [[광역급행버스|광역급행형]][* 하지만, 국민들은 통상적으로 광역버스, 직행좌석, 공항버스, 자동차전용도로 통행하는 일부 좌석버스, 농어촌 직행좌석형 등 직행장거리 버스를 [[시외버스]]로 간주하기 때문에 순수(오리지날?) 시내버스 범주에서 벗어나기는 한다.]이 없다는 것만 빼면 흔히 시 지역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와는 차이가 없다.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는 시내버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위에 인용한 법규와 같이 (광의의) 시내버스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 일반버스: '시내버스'나 '도시형버스', '입석버스'라고도 한다. 대전의 급행버스는 이것이다. * [[일반좌석버스]]: '[[좌석버스]]'라고 부른다. 대구나 부산의 급행버스는 이것이다. * [[직행좌석버스]]: '광역버스'라고 부른다. * [[광역급행버스]]: 수도권에서 '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M버스]]'라고 부른다. * 관련 내용: [[마을버스]]는 법적으로는 시내버스와 별개의 버스이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구분인 간선/지선/광역/순환/심야버스는 법적인 구분이 아닌 서울시의 행정상 구분이다. 법적으로는 간선/지선/순환버스는 모두 같은 일반버스로 분류되며, 광역버스는 직행좌석버스로 분류된다. 심야일반버스도 모두 일반버스로 분류된다. 부산에서는 일반버스를 간선/지선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일반버스 등급 하나만 있으며, 급행버스의 경우는 법령상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부산 내에서만 굴리는 1000번대 노선들은 58-1번, 221번 등과 똑같은 일반좌석버스에 속하고, 거제도로 가는 2000번만 직행좌석버스에 속한다. 거제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산으로 가는 2000번만 직행좌석버스이고, 아주터널을 경유하는 3000번과 4000번은 일반좌석버스이다. 이처럼 지자체별로 각 시내버스 노선을 간선, 지선 등 성질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법령상의 구분과 별개로 그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한 것이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조(면허 등)''' ①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사업계획을 작성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사업계획을 작성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의 면허를 받거나 시·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개정 2012.5.23., 2013.3.23.> ② 제1항에 따른 면허나 등록을 하는 경우에는 제3조에 따른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종류별로 노선이나 사업구역을 정하여야 한다. ③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면허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등록하는 경우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송할 여객 등에 관한 업무의 범위나 기간을 한정하여 면허(이하 "한정면허"라 한다)를 하거나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붙일 수 있다. || 시내버스 운송은 아무나 할 수 없다. 여객운송은 기본적으로 면허제로서, 위 조문은 그야말로 면허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수준이고 실제 버스 회사 신설에는 수많은 법적 규제, 그리고 이해관계자(기존 운수업체)의 의견 청취가 따라붙는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 특화된 토호가 아닌 이상 현실적으로 버스 업체를 신설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어느 정도냐면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신설되어도 견제가 '''매우 심하게''' 들어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시내버스 업체인 대우여객이 신규 시외버스 노선과 관련해서 소송을 한 것인데, 대법원에 두 번이나 올라갔을 정도로 치열한 법정공방을 벌였다.] 폭언, 난폭운전 등 함량 미달인 운전기사나 고장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차량관리 등, 시내버스의 낮은 서비스가 문제되더라도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협의가 없는 한 업체 신설을 통한 경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기는 매우 어렵다. 대기업이 괜히 보조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시내버스나 임률이 높은 시외버스가 아닌, 전국구 면허지만 보조금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임률이 낮은 고속버스만 운영하는 게 아니다.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타지 않고 수많은 시내버스만을 이용해서 부산에서 서울까지 이동한 용자가 있다. ----[[http://blog.daum.net/_blog/photoImage.do?blogid=093xo&imgurl=http://cfile230.uf.daum.net/original/121C92254CDFA79601E00C|이게 바로 그거.]]----[* 현재 다음블로그 종료]이 글은 디시 힛갤에도 등극했으며 서울 ~ 부산 말고도 해안투어 라든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9209|전국투어]]'''같은 바리에이션들도 존재한다. KBS의 30분 다큐 제작진이 이걸 보고 부산에서 서울까지 도전했는데, 이게 높으신 분들의 흥미를 끌었는지 2012년 7월 15일에 남자의 자격에서 그대로 미션으로 주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시내버스 여행 문서로. 2001년에 일본 세이부 버스를 이용하여 도쿄 이케부쿠로역에서 서울 신촌 명물거리까지 시내버스를 운영한 적이 있다. 물론 TV 이벤트성으로 1회 운행 했으며 총 2262km, 3872개의 정거장을 거쳐 도착했다. 니혼 테레비에서 더! 철완! DASH!라는 프로그램 속 콘텐츠로 기획했는데 [[http://www.ntv.co.jp/dash/tetsuwan_new/past/2001/0107/04_pg01.html|#이게 그 당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그리고 [[http://busphoto.net/90188814996|#한국어 번역본]]이다. 니혼테레비와 제휴를 맺고 있는 SBS도 이 방송에 협력한 바 있어서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235158&btn=free|SBS를 통해서도 이 내용이 일부 방영된 적이 있다.]] 대부분 도시에서 시내/농어촌버스 이용 승객이 감소세이다. 도시철도가 있는 도시의 경우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이용객을 합한 숫자가 감소하기도 한다. '''1인 가구 증가'''[* 1인 가구 증가가 왜 원인이냐 하면, 1인 가구 구성원의 경우 이사 다니기가 쉬워서 학교나 직장 근처에서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학교나 직장 근처에서 살 경우 출퇴근은 도보나 자전거로 하기 때문에 시내버스를 이용할 일이 별로 없다. 이들은 아파트가 아닌 원룸에서 거주하는데 대한민국 어디를 가나 원룸은 다 있기도 하다.], 자가용 차량 증가, 인구 감소가 원인이다.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곳은 말할 것도 없고 민영제라도 공익적 성격이 강한 시내버스의 특성상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지자체에도 이 문제 때문에 고민이 많다. 버스 정류장에 서있으면 자기가 타려는 버스가 아니더라도 버스 기사들이 일단 다가온다. 그래서 요즘엔 타지 않는 버스일경우 양손으로 크게 X자를 그려 탑승하지 않음을 알리고 자기가 타고자하는 노선이면 택시 부르듯 손을 들어 승차의사를 표시해달라고 안내한다. 시내버스는 고속버스·시외버스랑 달리 안전벨트가 없고[*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7조 1항에 따르면 고속국도를 운행하지 않는 시내버스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시내버스는 정류장 간의 이동거리가 대부분 길지 않아 안전벨트 탈착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구간 중 시내의 많은 신호등에 의해 속도를 크게 낼 일도 없으며, 크고 무거운 버스 특성상 사고가 나더라도 피해가 비교적 적다. 또한 안전벨트를 도입하게 되면 입석승객들은 벨트 착용하기가 매우 곤란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버스 내 모든 좌석에 벨트를 설치하고 그 수만큼 승객을 받는 지정제를 도입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많은 사람을 운송할 수 없어 버스를 여러대 운행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타는 중 스릴도 느낄 수 있다. 과거 프론트엔진 버스를 운용했던 시절에는 시내버스 엔진 소리가 사자나 호랑이 등 맹수 울음소리처럼 엄청 시끄러웠다. 고속버스, 시외버스, 덤프나 컨테이너 트럭 등 다른 중형차들도 마찬가지.[* 리어엔진 버스나 8기통 형식의 고속버스들도 버스가 지나가고 나서 후부 엔진실에서 나오는 소리 또한 엄청 시끄러웠으나 리어엔진 버스는 실내 소음만큼은 비교적 조용한 편이었다. 프론트엔진 버스는 엔진을 앞에서 품은 형태이기에 소음이 바로 실내로 전달되는 형태였고 무엇보다도 버스를 하루종일 운전해야 하는 운전기사의 피로는 엄청났다.]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영향으로 시내버스 노선이 감축되었다가 2022~2023년 들어서 일상 회복으로 감축 이전으로 돌아간 지역도 있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