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68.89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동해상사고속
(r5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582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P 위치: US, [AS16509] - [Amazon.com, Inc.] 우회 수단 IP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쿠폰제 파급 효과 그리고 논란 === 이 쿠폰제 이용으로 동해상사는 [[시외버스 동서울-강릉|동서울↔강릉]] 노선 만큼은 배차마다 매진이 일어나는 말 그대로 대박이 이어졌다. 오죽 인기가 많았으면, [[SBS]]의 '[[있다! 없다?]]'에서 쿠폰제 버스가 있다? 없다? 식으로 다뤄 본 적이 있을 정도. 게다가 쿠폰 뒷면에 동해상사고속이 배차되는 시간표를 적어 놔서 [[강원여객·강원흥업]] 배차로의 고객 이탈도 막아 놨다. 덕분에 경쟁 시외버스 회사인 [[강원여객·강원흥업]]은 말할 것도 없고, 고속버스에 속하는 [[중앙고속]]과 [[동부고속]]도 피눈물을 흘려야 했다.[* [[동부고속]]이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은 [[고속버스 서울경부-제천|서울 ↔ 제천]] 노선에서 포인트 제를 실시하는 것이 여기서 삘받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단, 빛이 있으면 어둠이 있는 법. 이런 식으로 대박이 이어지자 동해상사는 좌석 번호 그 딴 거 없고, 되는대로 집어 넣는 경향이라 다른 지역 노선과는 달리 [[시외버스 동서울-강릉|동서울↔강릉]] 노선은 항상 일반고속 차량으로 운행하여 승차감이 여러 모로 떨어지는 편이다. 그나마 수익이 좋은 [[동서울터미널|동서울]] 노선에 연식 좋은 차들 위주로 때려 박고 있긴 하지만, 어디 우등버스만큼 편안할까?[* 결국 2013년 7월에 동해, 삼척 노선은 쿠폰제에서 제외시키고 전 차량 우등으로 전환한다.][* 덕분에 강원여객(강원흥업)은 명절.연휴를 제외하면 이를 노려 동서울 구간 노선을 전부 우등으로 돌리고 있다. 어쩔 때는 공항리무진 차도 투입.(다만 평상시 굴리는 우등고속은 31인승 우등이다.) 게다가 이젠 고속버스 회사인 [[동부고속]]과 [[중앙고속]]도 [[강원여객·강원흥업]]처럼 전부 우등고속만 투입한다.(물론 당연히 우등할증요금 그딴 거 없고 일반요금을 받는다. 단, [[강원여객]]도 31석 넣는다는 것....) 그 정도로 [[고속버스 동서울-강릉|동서울 ↔ 강릉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구간 경쟁은 '''살벌하다.'''][* 참고로 동해고속에서 운행하는 노선 중 기본 우등형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동서울터미널|동서울]]-삼척 뿐이다. 같은 지역에서 치고박는 강원여객이 강릉-속초, 강릉-동해 같은 단거리 노선에도 --무한 차돌리기 스킬의 산물인-- 우등형을 있는대로 쑤셔박는 것과는 대조적.] 승차감은 둘째 문제 치더라도 서비스 질은 상당히 좋지 않다. 일부 기사는 손에 들고 핸드폰을 찍찍 해 대는 통에 그걸 보고 있는 승객은 생명보험 생각이 절로 나는데, 매우 불친절하다. [[동서울터미널|동서울]]에서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을 가려고 이 버스를 탔는데 인원 수 꽉꽉 채우기 위해 완전 필름 돌아간 취객까지 억지로 옆 자리에 앉혀놓고 '좀 양해해라' 식의 안하무인한 태도를 보여 줘서 공짜고 나발이고 절대 동해상사 버스 안 탄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 게다가, 우등차량이 고장났다거나 기타 이유로 정상 운행이 안 될 때 우등좌석을 사전 예매한 승객의 표를 환불해 주지 않고 그대로 일반버스에 태우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다만 시내버스인 경우엔 [[강원여객]]도 만만찮게 불친절하고 [[동부고속]]도 고속버스 치고는 그다지 친절도가 시원찮은 편이다. 이러한 현실 때문인지 [[시외버스 동서울-속초(시외)|속초행]] 노선은 기사들이 친절한 [[금강고속]]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강릉도 대부분 [[중앙고속]]이나 [[강릉선 KTX|KTX]]를 이용한다. [[강릉시 시내버스]] 조차도 [[동진버스]]의 차량과 기사들이 더 친절한 경우가 많아,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동부고속]]과 [[강원여객]], 동해상사를 기피하고 [[금강고속]]이나 [[중앙고속]], [[강릉선 KTX|KTX]], [[동진버스]]로 이탈한다. 양양으로 가더라도 오색, 한계령, 원통, 인제를 경유하더라도 [[금강고속]] 차량에 탑승하거나 [[동부고속]]이나 [[중앙고속]]을 이용하고 [[강원여객]]과 동해상사를 거르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금강고속]](영서)이나 [[동진버스]](영동)는 강원도 전체적으로 친절기사를 제일 많이 배출하여 가장 친절한 회사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동서울터미널|동서울]] 노선처럼 장사가 잘 되는 노선에만 온 힘을 쏟지, 여타 노선은 사실상 무관심한 것도 상당한 문제. 상대적으로 전국구인 [[강원여객]] 만큼 다양한 노선도 없고, 주요 노선은 영동 지방에서 수도권 가는 노선이 대다수. 즉, '''돈 되는 노선만 운행한다.'''[* 그나마 몇 안 되는(?) 비수도권 노선이였던 청주행과 강릉-속초완행/직행에도 배차에서 철수해 버렸으며 현재 비수도권만 오가는 노선은 없다.][* 이로 인해 강원도 영동지방발 비수도권 노선들은 강원여객이 전부 개통해버렸을 정도이며, 특히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등 서부경남 지역에는 [[부산교통]]의 방해 + 부산교통 과 [[경전여객|경전고속]]간의 갈등 + 동해상사고속의 무관심 + 강원여객의 서부경남 진출 어려움 등으로 인해 강원권 노선이 빈약한 지경에 이르렀다. 진주에서 강원도로 가기 위해서는 합천 등을 거쳐 [[33번 국도]]를 지나 [[고령IC]]로 가야 하는데, 부산교통과 경전고속 간의 사이가 워낙 앙숙이라 (각목 싸움까지 났다는 말이 있다) 경전고속은 재무상태가 안 좋고, 그나마 상태가 좋은 부산교통이 뚫자니 경전고속이 장악한 합천 쪽으로 통과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남한 내의 한반도 지역에서 강원도로 가기 어려운 지역이 서부경남이다.] 2023년 현재는 동해상사고속의 모든 시외차량이 우등차량이 되며, 쿠폰제는 더이상 하지 않는 듯 하다. 그리고 이 쿠폰제 때문에 [[강원여객]]과 상당히 사이가 좋지 않다. 그러다가 2009년 2월 엄청난 일을 일으키는데...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