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29.72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동진버스
(r5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158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P 위치: US, [AS16509] - [Amazon.com, Inc.] 우회 수단 IP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여담 == * [[강릉시]]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디젤차량만 출고해왔었다. 이 때문에 [[저상버스]]도 자연스레 디젤 차량으로 출고했다.[* 이로 인해 천연가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면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하는데, 이는 국내에 디젤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는 더 이상 디젤저상 모델을 생산하지 않는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사각램프 BS110CN 디젤 저상 2대가 모두 그린어스로 대차되었으며 이후 전기버스가 계속 늘어 48대[* 포톤 그린어스 18대 + 킹롱 시티라이트 30대.]를 보유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한국산 전기버스를 첫 도입한 지역은 춘천시이다. 이쪽은 NEW e-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의 경우 처음 도입하려 했을 땐 차량 대급 미납으로 [[현대자동차]]에서 회수해갔으며, 이후 제대로 출고하였다.] 이 때문에 차고지 내에 전기차량 전용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기버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2 차고지 및 전기버스 충전소를 공단 근처에 조성했다. * 2012년 10월 말 [[http://www.kwnews.co.kr/nview.asp?s=&aid=212103100060&t=.html|비수익 노선을 폐지하겠다고 들고 나왔다.]][* 신문에는 D버스로 표기되어 있으나 강릉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동해상사고속은 수익성이 나쁘지 않은 시내노선과 주문진 노선만 운행하기에 동진버스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http://www.kwnews.co.kr/nview.asp?s=501&aid=212110200123&t=.html|2012년 11월 3일부터 모든 노선이 정상화되었다.]] * 유사한 노선끼리는 크게 한개의 계통(OO선, XX선)으로 취급하여 차량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서 220, 222, 223번은 관대선으로 묶어서 11대를 투입하는 식. 다만 104, 224, 224-1, 233, 234, 통학노선처럼 운행횟수가 상당히 적은 경우 다른 계통의 차량을 빼서 투입한다.[* 2018년 개편전에 다니던 214번은 보광리에서 출발한 502번 첫차가 가마골을 찍고 나오면서 503번 첫차의 기능까지 하던 것이 영동대 앞에서 노선번호만 바꿔서 다니던 노선이었고, 2019년 개편전에 다니던 304/305번 역시 시내노선에서 다니던 차가 지원을 나갔다. 2020년에는 509번을 시내선에서 지원운행했다. 수요가 없는데 큰 차가 들어간 것은 이런 이유.][* 104, 224-1, 234번은 관대선 차량이 아침시간대에 지원운행을 나가는 노선들이다.] * 에너지 절약을 이유로 여름에 에어컨을 틀지 않고 창문을 열고 다녀서 [[https://www.youtube.com/watch?v=QJ08PsTQZyY|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 * 디젤 저상버스가 일반 디젤버스에 비해서 연비가 나쁜데다가 유지비가 많이 나왔던지라 평일에 한해 거리가 짧은 대학선에 집중적으로 투입했었고[* 디젤 저상버스는 관대선에 가장 많이 들어갔고 강대선에도 제법 많이 들어갔다. 아주 드물게 강릉고, 강문 노선에도 들어갔으며 운행거리가 긴 남부선, 북부선, 서부선에는 절대로 투입하지 않았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아예 운행하지 않았다. 이후 ~~차량 품질과는 별개로~~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전기 저상버스가 들어오면서 운행 빈도가 줄어들다가 단거리 노선인 233, 234번으로 넘어갔고 2020년부터 코로나 19로 인한 감차 이후에는 연식 및 주행거리를 불문하고 전부 운행을 중단했다. 더군다나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가 같은 저상버스이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 애물단지인 이 차들이 명목상 예비차로 바뀌어 운행을 나오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는 상황. * 한때는 동진관광을 운영한 적이 있었지만 2000년대 초반에 폐업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동진버스 차고지에 '''동진버스 동진관광'''이라고 쓰여있었으나 '''동진버스 동진버스'''로 바뀌었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