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73.216.65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공지
clearsky vue 포팅 버전이 지원 예정입니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TBC
(r6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34760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우회 수단(IPinfo 문제로 관련 정보 수집 불가)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여담 == * [[중앙일보]]가 [[종합편성채널]] 사업에 진출하면서 [[동양방송|TBC]]라는 이름을 못 쓰고 [[JTBC]]라는 이름을 걸게 한 주범(?)이다. 중앙일보 측에서 여러 차례 접촉했지만, TBC 측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27&aid=0000012610|거절했다고 한다]]. 과거 [[동아방송]]이 DBS라는 약칭을 가지고 있긴 했다.[* 주파수는 현재 [[SBS 러브FM]]의 AM 792kHz.] [[채널A|지금 계승된 건 아니지만...]] 공교롭게도 중앙일보를 주축으로 하는 [[중앙그룹]]이 속한 [[범삼성가]]의 [[삼성그룹]]도 대구에서 [[삼성상회]]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 2004년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SBS]]에서 '''[[아무로 나미에]] 내한 공연'''의 라이브를 진행했는데, 지역 자체 편성 프로그램을 방송해서 욕을 푸짐하게 먹었다. 게시판은 완전 난리가 났으며 결국 라이브를 보기 위해 팬들은 [[무궁화 위성]][* [[무궁화 위성]]으로 송출되는 방송은 KBS 1TV/2TV '''서울''', MBC '''서울''', SBS('''100% 순도 오리지널 전파'''), EBS 플러스 1/플러스 2과 그외 기타 방송들이 송출된다.] 수신기를 달거나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봤다고... * KBS, MBC와 달리 울릉군에는 중계소나 송신소를 두고 있지 않아서 방송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료방송 가입없이 TV와 드림FM을 시청취하려면 홈페이지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이용해야 한다. SBS TV를 그대로 보고 싶으면 무궁화 위성을 수신해야 한다. 파워FM과 러브FM은 [[고릴라(SBS)|고릴라]] 등의 스트리밍으로 들을 수 밖에 없다.[* 러브FM은 울릉군 만의 문제는 아니긴 하다.] * 2021년 초 화제가 된 [[위덕대학교]] 볼링부 [[https://www.youtube.com/watch?v=xBx_lD7KefM&t=863s|배소희 선수의 세리머니]]가 TBC 볼링 중계방송에서 나왔다. * TBC [[골프]]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으며, 동명의 TV프로도 방송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못역]]의 부역명으로 들어가 있고 역명판에 TBC 로고가 붙어있다. 뉴스의 배경이나 자체적인 광고를 할 때 3호선 열차를 매우 자주 등장시키거나, 인기 프로그램 '싱싱 고향별곡' 의 크루들이 일부 역([[수성못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의 안내방송을 녹음하기도 했다. 가끔 3호선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나올 때도 있다. *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은 지상파 민영방송사 중 [[울산방송|ubc]]와 함께 영문 사명이 Corporation인 두 곳 중 하나다.[* [[광주방송|kbc]]는 영문 사명으로 Company를 사용한다.] * [[성주군]] [[수륜면]]에서는 [[Genie TV]], [[무궁화 위성]][* 순도 100% 오리지널 서울 전파와 EBS 위성 전용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KT스카이라이프]]), [[HCN]] 새로넷방송으로 시청하지 않고 [[안테나]]로 TV 방송을 수신하면 지상파 방송사 채널 중에서 TBC/SBS만 나오지 않는다. [[KBS]], [[MBC]]는 물론이고 심지어 [[EBS]]도 잘 나오는데 말이다. KBS, MBC는 수륜면에 중계소가 있지만 TBC의 중계소는 수륜면에는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2112300|KBS 뉴스 관련 보도]] 경남과 가까워 [[KNN]] 전파를 수신하는 방법도 있다. 물론 UHF안테나가 하나 더 필요하며 방향을 KNN의 감악산 중계소로 향하게 해야 한다.[* 물론 KNN은 옛 명칭 PSB에서 보듯이 경남/부산 관할 방송이다(...)] * 1995년 개국 당시 ~ 2008년 12월 31일까지 방송종료 후엔 정파영상엔 테스트패턴이 떴으며 낮 정파 시절에도 정파영상 때 테스트패턴이 나왔다. 2000년부터 윗쪽 사과마크가 칼라에서 흑백으로 바뀌었으며, 아래쪽 대구방송이 대구경북으로 바뀌었다 거기에 날짜하고 시각표시도 2000년부터 표기되었다. 또한 칼라바음이 시♭에서 시로 바뀌었다. 낮 정파 당시에도 방송시작 30분 전까지 칼라바음이 나왔으며 거기에 2000년부터 대구방송 -> 대구경북으로 바뀐 건 경북지역 광역화가 완료되면서 바뀐 걸로 추정된다. * 1995년 5월 14일 ~ 2008년 12월 31일까지 방송시작, 종료영상은 검은 배경에 다이아몬드가 나오고 TBC 영문로고, 사과로고가 나오고 사과로고가 날아가 거대한 사과로고가 폭죽 터지듯이 나오며 83타워를 연상시키듯 위로 올라가면서 TBC 그리고 사과로고, TBC가 나오고 채널번호 19가 적힌 둥근 원이 나온 뒤 회전하면서 공 같은 형태가 나온 뒤 마지막에 TBC 영문폰트하고 사과로고가 회전하고 TBC 폰트가 나온게 특징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7JlokJftrFQ|#]] 2000년 1월 1일부턴 현재 TBC의 방송이념 "사람/자연/문화사랑 아름다운 대구경북을 만듭시다"로 교체되었고 SIGN ON/OFF도 이때 교체되면서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 타 지역민방과는 달리 [[대전방송|TJB]]와 함께 자체방송 시 '''TBC|SBS''' 로고를 송출하지 않는다. 코로나19 거리두기 시기에는 아예 'TBC' 로고 사이가 벌어지는 모션이 들어갔으며, 2023년 2월부터는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뜻하는 '''B 로고를 옆으로 눕혀 산봉우리를 만든 뒤''' 그 위로 비행기가 지나가는 모션을 넣으며 '''[[대구경북]] 재도약'''이라는 카피를 넣고 있다. 이 로고는 자체방송 외에 Station ID에도 적용된다.[* 더 나아가 Station ID에 적용된 당일에만 기존 로고송을 사용하였다. 듣고 싶다면 상술한 내용 참고.] * 같은 [[대구·경북]] 지역 지상파 방송국인 [[KBS대구방송총국]]이나 [[대구문화방송|대구MBC]]와는 달리 이제까지 사사(社史, 회사의 역사책)를 단 한 번도 발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홈페이지가 2020년 들어 새로 개편되었는데 레이아웃이 [[Microsoft Edge]]의 새 탭 페이지와 매우 흡사했다. 이후 한번 더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해소. * 배우 [[엄지원]]이 이 방송사의 리포터로 데뷔했다. * 2024년 1월 22일, 2009년 1월 2일부터 15년간 우려먹은 SIGN ON/OFF가 새롭게 제작된 영상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방송시작 BGM은 기존 그대로인데 방송종료 BGM은 기존 음원의 다른 파트를 피아노 버전으로 교체되었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